top of page
Urban Agricultural Design Research Using Urban Spaces
신슬기_이미지 A2.png
신슬기_이미지 B.png
신슬기.jpg
Seulgi Shin
Digital Media Design
san01love@gmail.com

The consumption of food and beverage has changed to value-oriented consumption by increasing the demand for safe food and increasing recognition of origin, food certification mark and animal welfare. The form of urban agriculture is leading to

the tendency to grow fresh vegetables by utilizing the idle land of the city such as the slope of the city, the roof, the box, and the weekend farm, and to distribute the agricultural products from self-sufficient. Th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products has changed from price and quality to trends that include storytelling and design, and they have become aware of the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through branding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urban agriculture using urban idle space and self - sufficient restaurant brand based on it.

시대적 흐름에 따라 도시민의 삶의 방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건강과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면서 식문화 소비와 도시농업 형태 또한 달라지고 있다.

식문화 소비는 원산지 확인과 식품 인증마크, 동물 복지를 중요시 여기며, 안전한 먹을거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친환경 유기농 식품 매장 및 코너가 점차 확산 되었고 가치 지향적 소비로 변화 되었다. 도시농업의 형태는 도시의 자투리, 옥상, 상자, 주말농장 등 도심의 유휴지를 활용하여 신선한 채소를 기르고 농산물을 자급자족하는 형태에서 유통까지 하는 추세로 이어지고 있다. 농산물의 경쟁력 요소가 가격과 품질에서 스토리텔링과 디자인을 포함하는 추세로 전환되었고 농산물에 대한 브랜드화를 통한 높은 경쟁력 강화에 대해 인식을 같이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심 유휴공간을 활용한 도시농업과 이를 기반으로 한 자급자족 레스토랑 브랜드를 제안하여 도시농업을 디자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57 Daehakro, Jongno-gu, Seoul, Korea 110-460

T. +82-2-3668-3801   F. +82-2-744-6866   Mail. idas@idas.ac.kr

Copyrights © 2017-2018 IDAS, Hongik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idas
  • White Instagram Ico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