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Communication Design on the Topic of Gender Equality
- Through Use of In-depth Interview as Storytelling Method



Is it persuasive enough to say right things are good, so do it? This study, using the method of ethnography, starts from this question and focuses on the communication of gender equality by implementing feminist stories through a series of zine designs and an editorial book design. In the light of gender equality, these publications all aim to convince via the individuals’ stories that every gender is as ordinary as other genders and should therefore be respected.
과연 옳은 것은 좋은 것이다라고만 하면 설득적인 메세지일까? 성평등을 주제로 하는 본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연구는 이와 같은 질문에서 출발한다. 에스노그라피 방법론 중 심층 면담을 통해 이야기들을 수집·분석했고, 인물들의 스토리를 인터뷰 잡지 시리즈와 편집물 형식으로 펴냈다. 이 스토리텔링에는 여성도 다른 성들만큼 평범하고 또 존엄한 성중의 하나라는 메세지를 담고있다. 더 나아가 별도의 편집물은 여성혐오의 역사와 역사적 인물을 빗대어 성불평등에 관해 이야기하는 편집물로써 혐오가 아닌 존중을 하자는 메세지를 담았다. 이러한 성평등 메세지를 비추는 모든 작품들은 모든 성별이 다른 성별과 마찬가지로 평범하다-즉, 자신답다-는 스토리를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