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Improving Participant Experience in Korean Music Festivals from Design Perspective
최준미_이미지A1.jpeg
최준미_이미지A2.jpeg
최준미이미지B.png
최준미1.jpg
Joon Mee Choi
Design Management
jmchoidesign90@gmail.com

The concept of ‘festivals’, existed merely to celebrate special days around them in the past, but it has now been transformed into a new form through the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the essence of it, people’s “participation” remains. Festivals cannot be completed without people’s involvement, and therefore, sustainable festivals need to be robust in systems where positive experiences generated by the various programs in festivals, connect to people’s participation experiences.

In this sense, this study suggests a design direction that provides convenience for festival participation and improves accessibility by recognizing behavior patterns based on field experiences of people in music festivals, and conveyed the perspective of maximizing participant experience visually.

현대사회의 소비트렌드가 여가 및 문화 생활로 기울어지면서 지역경제에서는 다양한 문화 컨텐츠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페스티벌 또한 하나의 문화로 거대한 성장을 하게 되었고, 과거에는 단순히 주변의 특별한 날을 기념하기 위해 존재했던 ‘페스티벌’의 개념은 이제 산업혁명 시대를 지나며 새로운 형태로 탈바꿈하게 됐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페스티 벌이 상업적인 형태로 변화되었음에도 사람들의 ‘참여’ 라는 본질은 그대로 남아있다. 사람들의 참여 없이는 페스티벌이 완성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서 지속 가능한 페스티벌을 위해서는 페스티벌에서 제공되는 여러 형태의 프로그램에서 비롯된 긍정적인 경험이 사람들의 참여 경험으로 이어지는 시스템이 견고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일반인들이 음악 페스티벌에서 겪는 현장 경험을 토대로 행동 패턴을 파악하여 페스티벌 참여에 있어 편의성을 제공 하고 접근성을 높이는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한다. 이와 더불어 관객들의 참여 경험을 극대화 하는 것에 대한 고찰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57 Daehakro, Jongno-gu, Seoul, Korea 110-460

T. +82-2-3668-3801   F. +82-2-744-6866   Mail. idas@idas.ac.kr

Copyrights © 2017-2018 IDAS, Hongik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idas
  • White Instagram Ico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