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ER / JIYOUNG HAN
Designers often create their own design with intuition or informed hunch or sometimes they go through a series of design processes. However, making meaning out of the data and producing creative results is called a black-box.
In additio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that have been creative through these processes has become a key factor of success for companies or individuals. However, the analysis phase in design which is also referred to black-box is limited by the use of accustomed analysis tools and there is relatively less studies on these phases.
Therefore,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alysis phase in design, technology and marketing which is important for design innov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Especially 86 case studies in Korea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were conducted, and discover the key analytical methods for the analysis stage in the design field. As a result, three analysis methods: image analysis, observation analysis and benchmarking were obtained for analysis phase in design field. Also, structural analysis formation was used in four ways: clustering, flow diagram, matrix, and positioning.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study on analysis phase not only in the design field but also technology and marketing field prior to the concept development in new product development for guidelines as efficient analysis phase.
A Study on Guideline for Efficient Analysis Phase
of New Product Development

디자이너들은 흔히 그들만의 직관으로 디자인 결과물을 만들어내거나 일련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거치게 된다. 하지만 많은 데이터들을 모아 분석하고 창의적으로 결과물을 나타내는 것은 마치 블랙박스와 같다고 불리운다. 또한 이러한 프로세스를 거쳐 창의적으로 나온 신제품 개발은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서 기업 또는 개인에게 성공의 기회가 될 수 있는 핵심 요소로 자리잡았으며 부문간의 융합과 다양한 기술, 감성, 디자인 측면에서 만족도가 높은 제품의 개발로써 진행될 수 있다.
하지만 디자인에서의 분석 단계는 블랙박스라고도 불릴 만큼 직관에 의존하거나 익숙한 툴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한계에 부딪히며 분석 단계의 실행에 있어 상대적으로 미비한 연구 실정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선행 조사 그리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각 분야에서 의 분석 단계에 대한 특징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국내 신제품 개발에 관련된 86가지 사례 분석을 진행하여 디자인 측면에서의 분석 단계에 대한 핵심적 분석 방법을 연구한 결과 이미지 분석, 관찰 분석, 벤치 마킹의 세가지 분석 방법으로 귀결시킬 수 있었다. 또한 구조적 분석방법으로는 클러스터링 형, 플로우 다이어그램 형, 매트릭스 형, 포지셔닝 형인 총 4가지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신제품 개발 시 디자인 뿐만 아니라 마케팅, 기술 측면에서 컨셉 도출 이전의 분석 단계에 대해 살펴보며 효율적 분석 단계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연구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