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ccording to the statistics releas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cently, the average income of artists through arts activities is less than one million won a month. In addition, due to the economic difficulties, young artists are ex- periencing situation that makes them too hard to open exhibition. Cost in order to open art exhibitions is too high. This amount is ridiculously expensive to cover through artistic art work. Although new artists have some routes such as contests which does not cost money to exhibit their works of art, but the galleries that had hosted many contests in order to uncover new artists in the recent recession have closed down. Many artists who have not been showed their art works to public or known their name are hard to catch even the opportunity of competition because the likelihood of their paintings being sold is low.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xhibition spaces may use the idle spaces like cafes’ empty wall or spaces that are still waiting for lessees.

This kind of spaces have been created in various places in the city of Seoul, and the exhibition space is provided to the artists at a lower price than the gallery. These exhibitions contribute greatly to the creation of a cultural space using idle space, and the contents of the city continues to be diverse. However, the exhibition using the idle space has not been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activated yet. Also, the space and the information of exhibitions are not shared and scattered, so it is difficult to find easily, and the on/offline platform providing the gallery information for the existing artists is pointed out that it makes users experiencing difficulties to find information quickly and convenientl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e have identified the above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 have studied literature on the idle space and the case of successful foreign countries using it in artistic uses. We also investigated domestic shared services based on shared economic concepts, and examined the shared service structure of Air bnb, which is a success story overseas. Air bnb has created new travel cultural content based on the concept of sharing. Creating a service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the exhibition space sharing service by studying the services that create new value through sharing rather than ownership concept, and find possible improvement points. Through this study, presenting a platform model for the sharing of idle space in the city to create more exhibition opportunities for young artists and revive the exhibition of artists, and propose designs and make conclusions for effective use of services.

Development Of A Shared Service Design Platform
For Artistic Use Of Idle Space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표한 통계에 의하면 예술인들의 순수 예술 활동을 통한 수입은 평균 월10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집계 되었다. 또한 각종 매체에서 제기되고 있는 젊은 예술인들이 겪고 있는 경제적인 어려움은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더욱도 악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술 전시를 다음 위해서 많은 금액을 지불해야하고 이 금액은 순수 예술 활동을 통해 충당하기에는 터무니없이 비싼 실정이다.
신인 작가들이 예술작품을 전시하기 위해 돈이 들지 않는 공모전과 같은 경로가 존재 하기는 하지만 최근 계속되는 경기불황속에 신진작가를 발굴하기 위해 많은 공모전을 주최했던 갤러리 들이 문은 닫기도 하고, 신인 이지만 그림을 판매 할 수 있는 작가를 뽑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소수의 입증된 작가들을 재외 한 많은 예술인들은 공모전고 같은 기회조차도 잡기가 어려운 현실이다. 이런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까페의 빈 공간을 이용한 전시공간들이 서울 도시 내 여러 곳에서 생겨나고 있고, 갤러리 보다 저렴한 가격에 작가들에게 전시 장소를 제공 하고 있다.
이런 전시는 유휴공간을 이용한 문화공간의 생성에 크게 기여를 하고 있으며 도시 곳곳에 예술이라는 콘텐츠를 불어넣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유휴 공간을 이용한 전시는 제도적으로 활성화 되어있지 않으며 전시공간과 전시의 정보는 공유되지 않거나 흩어져 있어 쉽게 찾아보기 어렵고, 기존에 존재하는 작가들을 위해 갤러리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오프라인 플랫폼도 시각적으로 정보를 빠르고 편리하게 찾기가 어렵다는 사용자들의 지적이 있었다. 문헌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위와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휴공간에 대한 문헌적 정의와 이를 문화적으로 활용한 성공적인 해외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공유경제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또한 공유경제 개념을 바탕으로 한 국내 공유 서비스등을 조사하였고, 해외의 성공 사례인 Air bnb 의 공유 서비스 구조에 대해 알아보았다. Air bnb는 공유의 개념을 바탕으로 새로운 여행 문화 콘텐츠를 만들어 냈다. 소유의 개념보다는 공유를 통한 새로운 가치의 창출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서비스 조사를 통해 개선점을 찾고 전시공간 공유 서비스에 대입 할 수있는 서비스 모델을 만들어 볼 수있다.

이를 통해 젊은 예술인 들의 보다 많은 전시 기회 창출과 예술인들의 전시 부흥을 위한 도시 속 유휴공간의 공유를 위한 플랫폼의 모델을 제시하고 서비스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한 디자인 제안한다.

DESIGNER / YEUNKYUNG PARK

57 Daehakro, Jongno-gu, Seoul, Korea 110-460

T. +82-2-3668-3801   F. +82-2-744-6866   Mail. idas@idas.ac.kr

Copyrights © 2017-2018 IDAS, Hongik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idas
  • White Instagram Ico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