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Our, Korean’s Traditional Craft

DESIGNER / JEKYO KIM
I would like to study the position of stakeholders in traditional crafts and suggest ways to help revitalize traditional crafts by reducing the gap.
The value of crafts, which are well worthy of daily necessities and decorations, is falling day by day.
It is a vicious cycle in which the brand image is lowered and the sales price is lowered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t is deteriorated due to the constant promotion of the precedent policy, the narrow domestic market, and the weakening of the creative base.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promote traditional crafts through various policies, education, institutions and events. However, there is still stagnation of development due to low awareness.
With so many tangible efforts so far, what is the intangible attempt to perceive?
There are a lot of stakeholders around traditional crafts here. It is a traditional craftsman, consumer, designer. Craftsmen want to produce high-priced military products and want to know their needs. Consumers also want low cost traditional crafts,, and designers need to surviv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adaptation and creativity are required. What do they need in common? It is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traditional crafts. If they can recognize this, their gaps will likely be reduced. I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reduce the gap. The government has provided support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arts and crafts industry, and publicity and marketing to improve awareness are significantly less than institutional devices. In the future, I will give support for publicity and marketing. In addition, I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reduce the gap between various stakeholders.
저는 전통공예를 둘러싼 이해 관계자의 입장을 연구하고 그 간극을 줄여 전통 공예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생활용품 및 장식용등 으로 충분히 가치가 있는 공예의 위상이 날로 떨어지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전례 답습의 정책추진, 협소한 내수시장, 창작기반 약화 등의 문제로 브랜드 이미지가 하락하고 판매가 하락하며 상품의 질이 저하되는 악순환 현상을 걷고 있는 것입니다. 다양한 정책, 교육, 제도, 행사 등으로 전통공예 진흥에 대한 많은 노력이 있었지만 아직도 낮은 인식으로 발전이 정체되어있는 상태입니다.
지금까지 이토록 tangible한 수많은 노력이 소용없었다면 인식을 위한 intangible한 시도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여기 전통공예를 둘러싼 수많은 이해 관계자들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전통공예가, 소비자, 디자이너입니다. 공예가는 고가격군의 제품을 생산하고 싶어하며 현재 시장의 고객 니즈를 파악하고 싶어 합니다. 또한 소비자는 저가격군의 전통공예품을 원합니다. 또한 디자이너는 적응과 창의성이 요구되는 4차 산업 혁명에 신기술에 살아남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들에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전통공예의 가치인식입니다. 이것을 인식할 수만 있다면 그들의 갭은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그 갭을 줄어들 방안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공예 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에서 지원한 내용이 나오는데 이중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 및 마케팅은 제도적인 장치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필요한 지원은 홍보 및 마케팅이라는 답이 있기에 저는 공익적인 영상을 제시합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갭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안 하고자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