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 Study on Development of Hangeul Graphic Design:
Expression and Visualization
DESIGNER / GIWON RY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Mun-Ja-Do in Joseon dynasty which is a Chinese character painting with illustrations and transform with modern perspective in Hangeul graphic design. It was overwhelming to get to know Mun-Ja-Do, because it was early age of typography based paintings in Korean history and most of them were made by unknown artists.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express and visualize meaning of Korean words in 2D graphic and emphasize its graphic elements in 3D printing.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문자도(文字圖)를 관찰하여 현대의 한글 그래픽으로 재해석하는 것에 있다. 작자 미상의 문자도를 관찰하게 된 것은 연구자의 평소 습관에서 시작하였다. 충동적 창작이 아닌 관찰과 자료에 근거한 그래픽을 연구하고 싶은 연구자의 습관이 본 연구를 이끌었다. 그래픽 디자인의 궁극적 목적이 인간의 본능, 감성 등을 자극하는 다양한 양상의 조형적 모색으로 그 아름다움을 추구하여 대중에게 심리적, 사회적 감흥을 우발하는데 있다면 18~19 세기 동안 폭넓게 사용된 문자도는 그 목적을 달성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문자도를 현대적 관점으로 해석하여 한글그래픽으로 시각화, 3D 기술을 응용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하였다.

57 Daehakro, Jongno-gu, Seoul, Korea 110-460

T. +82-2-3668-3801   F. +82-2-744-6866   Mail. idas@idas.ac.kr

Copyrights © 2017-2018 IDAS, Hongik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idas
  • White Instagram Ico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