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 Study on Smart Farm Agricultural Products Market Platform Service for Vitalizing Korean Agriculture
DESIGNER / YOONJEONG LEE

Currently, Korean agriculture is emerging as a new growth engine that will change the future industry. Among them, Smart Farm, which is based on ICT convergence, has attracted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Korean agriculture. However, The number of Korean Smart Farm is lower than other countries. And 31.8%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wanted to expand support for farmers in the initial settlement support project. The need for expanding sales of agricultural products was the second highest at 21.9%. I thought, If we neglect these issues, rural isolation will continue. 

So I designed an online platform to improve the crop market. This is aims to activate smart farm by establishing an online platform to provide farm products. this is a new distribution process suitable for consumers’ emotions and society, and sought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and revitalization of agricultural districts by improving the package design. 

현재 국내 농업은 미래 산업을 바꿔 놓을 새로운 성 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 중 ICT 융합 기반의 스 마트팜(Smart Farm)이 떠오르면서 국내 농업의 경 쟁력을 높일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국내 스마트팜 성장·보급률은 해외에 비해 낮은 편이다. 귀농인들의 초기 농촌 정착에 관한 문제점을 분석 해 본 결과 귀농·귀촌인을 지원하는 농창업비용지원 (31.8%)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농업생산물판로 확대를 위한 지원(21.9%)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 았다. 해당 문제점들로 인해 지속적인 정착이 되지 않 아 농촌지역의 침체화도 문제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팜의 활성화와 정보가 부 족한 귀농·귀촌인들의 초기 귀농 시 어려움 중 하나 인 농작물 판로를 온라인 플랫폼으로 구축하고 소비 자의 감성과 감성 사회에 맞는 유통 과정에 사용 될 패 키지 디자인 개선을 통해 국내 농업지구 경쟁력 제고 와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농업 시장의 개선 방안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어 국내 농업지구 활성화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추후 스마트팜을 이용한 서비스 들의 활성화를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57 Daehakro, Jongno-gu, Seoul, Korea 110-460

T. +82-2-3668-3801   F. +82-2-744-6866   Mail. idas@idas.ac.kr

Copyrights © 2017-2018 IDAS, Hongik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idas
  • White Instagram Ico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