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O2O Platform Service for Activating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ervice - Focused on Pet Sitter

DESIGNER / HEEJIN KA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brand forward advanced domestic pet assistant services into an O2 O platform that can be used seamlessly by pet owners. To this end, statistical analysis and research were conducted to suggest the usefulness of the study and focus on the visualization to the O2O platform through branding buildings.
First, I studied the status of domestic companion animals and pet sassitants and O2O platform through literature and research data. Second, the case study identified improvement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re service platforms. Finally, service platforms are presented with a visible view through the brand buildings.
I hope this research is helpful that pet services can mature companion animal culture socially, not just for profit making purposes, And also animal lovers will be able to give their pets a chance to take care of their petsitters even during busy day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아직 품앗이의 모습이지만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은 국내 펫시터 서비스를 반려동물 보호 자들이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O2O 플랫폼으로 개발하고 브랜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 계분석과 연구를 진행하여 연구의 필용성을 제안하 였고 , 브랜딩 빌딩을 통해 O2O 플랫폼으로 가시화하 는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문헌 및 연구 자료를 통해 국내 반려동물과 펫 시터의 현황과 O2O 플랫폼에 대해 연구하였다. 둘 째, 사례조사를 통해 국내외 돌봄 서비스 플랫폼의 개 선점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국내 반려동물 가정 위탁 은 대부분 품앗이 형태에 머물러 있어 온라인 플램폼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최근 생겨난 관련 플랫폼 은 이윤 창출 목적에 적합한 사용자 서비스를 제공하 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반려동물을 실시간 확인 할 수 있는 채팅 서비스, 및 레이팅 시스템을 결제 시 스템과 연결하여 신뢰할 수 있는 펫시터 서비스로 보 완하였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빌딩을 통해 서비스 플 랫폼을 가시화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로 반려동물 관련 서비스가 단순한 이윤창 출 목적의 돌봄이 아닌 사회적으로 반려동물 문화를 성숙시키는 역할을 하고, 향후 반려동물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도 반려동물을 돌볼 수 있 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