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Branding Strategy through Collaboration
of Flower Brand and Horticultural Therapy

DESIGNER / BOEUN SIM
Is the power of “flower” simply beauty?
Nowadays, as the economy improves and the perception of leisure is increasing, compared with the past, there is more space to experience flowers in various ways. As a result, in the past, flower products that have been exchanged only on special occasions are now trends that are gradually expanding in the everyday life. Although the size of the flower brand business in Korea has been small and low in profitability until now, as the interest in the flower brand has spread to the younger generation, active attempts of the flower brand have been progressing gradually. In this study, the flower brand is not only a traditional concept of buying flowers and space, but it builds new program and brand identity through flower brand and horticultural therapy collaboration as a mediator of flowers and plants. It is hoped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into various areas and mitigating the problems of existing flower brands in Korea and securing competitiveness.
“꽃”이 가지는 힘은 단순히 아름다움뿐일까?
과거에 비하여 경제력이 향상하고 여가 선용에 대 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오늘날에는 다양한 방법으 로 꽃을 접하거나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 늘어남과 동 시에 전반적인 삶의 여유가 생겼다. 그에 따라 과거에 는 특별한 날에만 주고받던 플라워 상품들이 평상시 생활 속에 자리 잡으며 조금씩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 는 트렌드이다. 우리나라의 플라워 브랜드 사업 규모 는 현재까지 영세하고 수익성이 낮은 특성을 보이나, 젊은 층을 대상으로 플라워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확 산되면서 차차 플라워 브랜드의 활발한 시도들이 조 금씩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플라워 브랜드가 단순히 꽃을 구매하는 개념이나 공간이라는 전통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꽃 과 식물을 치유의 매개체로 플라워 브랜드와 원예치 료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새로운 프로그램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플라워 브랜드 가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고 새로운 상품 개발 및 브 랜딩 전략을 통해 새로운 가치 창출과 차별화 등이 예 상되며 우리나라의 기존 플라워 브랜드가 가지고 있 는 문제점을 완화 시키고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에 기대한다.

